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와 input, print 함수

by leo104 2022. 11. 14.
728x90

파이썬의 데이터 타입 3가지

문자열(str), 정수(int), 소수(float) 3가지가 있다.

 

연산표기법

사칙연산 +, -, *, /
// 나누기의 몫
% 나눈 후의 나머지
Abs(n) 숫자 n의 절대값
** 제곱
Matg.sqrt(n) 숫자 n의 제곱근

 

연산순서

( )                 **                  *, /                   //, %          →          +, -

 

변수 할당

변수 할당은 ( = ) 기호를 사용한다.

* 왼쪽이 변수의 이름이다.

* 오른쪽이 변수의 값이다.

 

파이썬 문법

* 문자열 데이터의 경우는 반드시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붙여야 한다.

* 코드 입력시 가장 앞에는 공백을 남기면 안된다. 또한 데이터와 연산자 사이에는 공백이 있어도 상관없지만

  연산자와 연산자 사이에는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

 

이 코드의 경우 

'고등어'라는 문자열 데이터가 fish라는 변수에 저장된다(메모리에 저장됨).

그 후에 fish를 입력하면 '고등어'라는 답이 출력된다.

 

주석의 예시

맨 앞에 #를 입력하면 코드로 인식하지 않고 사용자가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긴다. 이것을 주석이라고 한다.

 

데이터타입을 확인하는 방법

price = 3000

fish = '고등어'

weight = 70.15

라는 변수 할당을 했을 때 이 데이터들의 데이터타입을 확인하는 방법은 type함수를 이용한다.

ex)

type 함수의 예시)

 

PRINT 함수

프린트 함수 사용법은 괄호 안에 변수나, 숫자, 문자열 등을 넣어주면, 화면에 출력한다.

변수를 할당하고
print 함수를 이용하면 이렇게 출력된다.

여기서 이름과 나이만 바뀌고 나머지 문장이 재사용되는 경우를 템플릿이라고 하고

바뀌는 부분은 변수로 처리해 줄 수 있다. 위의 예시로 바꿔본다면

제 이름은 { } 입니다. 나이는 { } 입니다. 바꿀 부분을 중괄호로 대체한 후 뒤에 . format('백민우', 28)을 입력하면

제 이름은 백민우입니다. 나이는 28입니다. 라는 결과가 출력된다.

 

또 name = 백민우 , age = 28 처럼 미리 변수를 할당해놨다면

'제 이름은 { } 입니다. 나이는 { } 입니다' .format(name, age) 라는 식으로도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USER INPUT

* input 함수는, 유저한테서 직접 입력을 받는다.

 

728x90